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료2

보건의료노조 19년만에 총파업 돌입 간호사와 요양보호사 등 다양한 의료 종사자들이 속해있는 전국보건읠산업노동조합이 13일 총파업에 돌입했다. 노조는 간호 인력 적정기준 마련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등 공공의료 확충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노조의 파업이 "국민을 겁박하는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날 오전 7시부터 전국 127개 지부 145개 사업장에서 조합원 4만 5000여명이 참여하는 산별 총파업을 시작했다. 파업 사업장은 사립대병원지부 29곳, 국립대병원지부 12곳, 특수목적공공병원지부 12곳, 대한적십자사지부 26곳, 지방의료원지부 26곳 등이다. 이른바 ‘서울 빅5’(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신촌세브란스,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중 파업에 참여하는 병원은 없지만, 서울의 경희대병원, 고려대 안암병원,.. 2023. 7. 13.
의사 - 간호조무사 부분파업 1. 왜 파업하는가? 간호조무사라는 직업이 있다. 간호조무사는 간호조무사(看護助務士, Nurse Assistant 또는 Korean Licensed Practical Nurse Associatio(KLPN))는 자격을 갖고 의사, 간호사의 지시 및 감독 하에 간호보조 및 진료보조 업무를 보조하는 사람[1]을 말한다 -나무위키참조 그런데 이 간호법을 국회가 개정하면서 제5조의 '간호조무사 자격인정' 부분이 논란이 되고 있다. 현행의료법은 간호조무사의 국가시험응시자격을 '고교 졸업자'로 제한하는데 간호법 역시 의료법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와서 간호조무사가 되기 위해서는 특성화고의 간호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한다. 복지부는 2013년 대학에서 입법 미비를 악용해 간호조무 전공을 신설하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의료법.. 2023. 5. 3.
반응형